#1 투자의힘
12월 경제리포트
[ 거시적 관점 : 세계 경제 ]
1] 코로나의 재확산과 코로나 백신
- 여름 휴가시즌 유로존 전역에서의 코로나 확진자 수 급증가, 10월 이후 가속화
- 미국&유럽 주요국 정부의 봉쇄조치 재도입
- 세계경제 성장률 둔화 속 신흥국의 회복세 및 미국의 회복
- 한국 코스피 3월 기준 87.3% 증가 / 미국 S&P500 67.3% 증가
- ECB와 연준 경기침체 대비 시중금리를 계속 낮은 상태로 유지를 통한 경기회복 뒷받침
- 코로나 : 국내 자산시장의 버블 RISK
: 자산버블 & 재정통화정책 확장으로 부동산, 증시 등 자산시장으로 버블형성
- 글로벌 금융위기 2008년 이후 신흥국의 민간부채 대부분 차지, 신흥국 부채리스크 높아질 것
2] 환율하락과 코스피 상승
- 달러 약세와 위험자산 선호 / 수출기업 & 환헤지가 쉽지 않은 중소기업들의 타격
- 코로나19 백신 개발 소식 -> 글로벌 투자자금 -> 신흥국 (위험자산)
- 경기회복에 대한 기대감에 달러나 국채와 같은 안전자산보다는 신흥국 주식시장 투자매력 증가
- 달러약세와 보호무역주의 기조(바이든)
3] 신흥국의 성장
- 2021년 중국과 인도 8%이상의 높은 성장률 본격적 경제 회복 예상
- 러시아 및 브라질 3%대 성장
- 미국 & 일본 & 유럽 선진국 고용과 소비 더딘 회복, 상대적으로 낮은 2%대 성장률
- 신흥국주식펀드, 자금 유입의 지속
- 달러 약세와 투자심리 회복으로 신흥국 관련 주식펀드로 자금 유입 지속
- 중국, 한국과 같은 아시아 주식펀드 9월부터 자금 유입 급증가, 11월 자금유입규모 큰 증가
- 글로벌 금융위기 2008년 이후 신흥국의 민간부채 대부분 차지, 신흥국 부채리스크 높아질 것
- 신흥국 투자 비중, 적절히 분배하여 RISK 관리를 하는 것을 추천
4] EU V자 반등
- 12월 7일(월) 각국의 코로나19 백신 본격 상용화 여부 결정
- 영국의 가장 빠른 화이자 백신 사용 승인,
- 미국 10일 FDA 자문위원회를 통한 화이자 백신 긴급 승인 신청 결정 예정
- GDP 2%가 걸린 노딜 브렉시트, 운명의 마지막 주사위 : 영국&EU 경제적 타격
- 12.10 ECB 통화정책회의 : 지속적 채권 매입 확대 의견, 2조 달러 확대 [경제회복 적극적]
- 최근 두드러진 유료화 강세 현상 및 달러약세
- 유로존 내 코로나 19 확진자 수 감소에 따른 경제회복 기대감 상승
- ECB는 추가 통화정책보다는 현상 유지에 초점을 맞출 가능성 多, 달러 약세+원자재 가격 강세는 지속
- 중요한 것은 위 내용들은 EM시장, 신흥국에 우호적 환경 제공
11월 글로벌 제조업 PMI 지수 서프라이즈 53.7 올해최고
[미국, 중국, 유로존, 아세안 모두 빠른 경기회복세 동참]
* 제조업PMI : 신규주문 · 생산 · 수주잔량 · 고용 · 공급자운송시간 · 구매가격
미국 제조업 PMI 56.7
중국 제조업 PMI 54.9 (2017년 9월 이후 최고치)
한국 제조업 PMI 52.9 (2011년 2월 이후 최고치)
[유로존]
독일 제조업 PMI 57.8
영국 제조업 PMI 51.5
이탈리아 제조업 PMI 55.6
아세안 제조업 PMI 50 - 그동안 가장 더딘 경기회복세 탈출
코로나19백신 승인 – 위험자산선호 – 달러약세
영국, EU 노딜 브렉시트 협상 타결 기대 – 유료화 강세
자료출처 : 삼성자산운용사 / 키움증권 / SK증권 / KB증권 / 한화
카카오톡 : hojun628
'[투자] 월간 경제리포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제] 5월 경제리포트 ★★★ (7) | 2021.05.08 |
---|---|
[경제] 3월 경제리포트 [★★★] (0) | 2021.03.05 |
[경제] 1월 경제리포트 중간점검 (주식&경제시황) (2) | 2021.01.11 |
[경제] 2021년 유망산업 (2) | 2020.12.22 |
[경제] 1월 경제리포트 (2) | 2020.12.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