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1월 중순 ~ 현재 경제시황
[투자] 경제 시황

[경제] 1월 중순 ~ 현재 경제시황

728x90

~1월11일 (금)까지의 경제 이슈

 

1월12일 (화)

Check 항목

EIA 단기에너지전망보고서

- 유가전망 상향 조정 

- 사우디의 추가감산 결정 영향이 큼

- 올해 OPEC 회원국의 원유 생산량이 전월전망보다 30만 배럴 감소

- 석유수요 회복속도는 코로나19 백신의 효과에 따라 상이

- 2022년 초, 코로나 19 이전 수준 회복으로 분석

 

1월13일 (수)

Check 항목

 EU 11월 산업생산

- 시장 예상보다 하회

- 전월 대비 0.2% 상승, 3개월 만 증가세

- 그러나 11월 산업생산 전년 대비 1.5% 감소

- 유로존의 산업생산 침체에서는 조금 벗어날 것

- 12월 제조업 PMI : 신규 수주, 현 생산의 저하

- 분기 흐름 자체적으론 긍정적, 4분기 GDP 성장률 0.2% 예상

 

미국 12월 소비자물가지수

- 소비자물가지수 0.4% 상승

- 두 달 연속 상승세, 전년 대비 1.4% 상승

- 예상 전망치와 일치

- 소비자물가지수(CPI) 상승은 휘발유 가격 급등과 관련

- 에너지&식품 제외 소비자물가지수는 0.1% 소폭상승 

- 미 중앙은행 Fed가 주목하는 물가 지표 중 하나 -> 근원CPI

근원 소비자물가지수는 소비자물가지수 중 가격 변동이 큰 품목들을 제외하고 산출한 물가지수다.

1월14일 (목) 

Check 항목

OPEC 원유시장보고서

- 2021년 상반기 국제유가의 하락 위험 및 높은 변동성 예측

- 코로나 사태로 인한 충격파

- 변종코로나 등장 등 새로운 위험 예상

- 하방 위험성

- 전세계 국가들 사회적.경제적 규제를 유지하는 상황

- 여행과 관광, 레저, 서비스 분야 회복 장기간 필요 

- 하반기 국제경제 강한 회복세 예측

 

OECD 경기선행지수

 

2020년 OECD 경기선행지수

- OECD 경기선행지수는 평균 주당노동시간, 신규수주, 소비자예상, 주가 , 금리스트레드 등을 포함한 10개의 선행지표를 조합하여 전체 경제의 건강도를 측정

- 한국 :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추정하는 우리나라의 경기선행지수가 9달 연속 경기확장

2020년 12월까지 9개월 연속 상승으로 OECD 29개국 중 최장 기간
코스피 급등세가 반영 (경기선행지수 평가 요소 중 주가가 포함되어 있음) 

 

파월 연준 의장 세미나 

- '출구 전략을 말할 때가 아니다.' 발언

- 금융시장의 최대 관심사는 '미국의 시장금리'

- 경제 개선 및 물가 상승 예상이 커지며 정기금리가 빠른 속도로 높아짐

- 물가가 올랐을 경우 연준이 제로금리와 현 수준의 자산매입도 유지 여부가 중요

1월15일 (금)

Check 항목

EU 11월 무역수지

- 미국, EU 수출 3개월 연속 증가

- 수입은 기계류와 같은 자본재 중심으로 +6.2% 증가

- 에너지류 가격 하락으로 원자재 수입 -19.5% 감소

미국 12월 소매판매

- 예측   -0.2%

- 발표   -0.7%

- 이전   -1.4%

- 소매판매는 소매 단계 총 판매액의 인플레이션 조정치 변동을 측정으로 전체 경제활동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소비자 지출의 가장 중요한 지표

- 실제 수치가 예상치보다 높을 경우 달러 전망 긍정적, 낮으면 부정적

 

 

미국 12월 산업생산

- 발표   -3.60%

- 이전   -5.41%

- 산업생산은 제조업체, 광산 등 인플레이션 조정 후 총 생산량의 변동을 측정하는 지표

- 12월 산업생산 전년 대비 -1.0% 감소

- 시장 예측과 일치 

 

미국 12월 생산자물가지수

- 생산자물가 상승률 반등 , 시장 예상보다는 하회

- 전월 대비 0.1% 상승 (예상치 0.2% 상승)

- 생산자물가지수(PPI)는 물건이 만들어져 처음 시장에 나왔을 때의 가격을 지수화한 지표

- 생산자물가지수 : 식료품 이외 높은 비중
- 소비자물가지수 : 판매량이 많은 식료품에 높은 가중치

 

1월18일 (월)

Check 항목

미국 휴장 

- S&P : 3,768pt ->3,798pt

- 나스닥 : 13,026pt -> 13,194pt

 

1월19일 (화) 

Check 항목

넷플릭스 실적발표

- 꾸준한 성장세를 보여주는 호실적 발표

- 매출과 영업이익 각 21.5%, 107% 성장 

- 유료가입자 증가세와 안정된 재정 상태

- 넷플릭스의 한국 및 한국 콘텐츠에 대한 투자 확대 주목

 

1월20일 (수)

Check 항목

바이든 대통력 취임식

- 코로나19 확산 방지

- 기후변화 인종차별 문제 해결 

- 친환경 중요성 강조

- 동맹국가와의 협력 강조

- 미중과의 갈등 심화 여부 

 

EU 12월 소비자물가지수

- 전년대비 1.3% 증가

- 시장 예상치와 일치

1월21일 (목)

Check 항목

한국 1월 수출입동향

- 전년대비 1월1일 ~20일 수출액 11% 증가

- 수출 개선세의 좋은 흐름

- 비대면 산업의 규모증가로 반도체가 전체 수출 개선세 주도

- ICT(정보통신기술) 관련 상품의 큰 폭 증가

- 미국,중국 , 베트남, EU와 같은 주요 교역국 대상 수출 회복세

- 일본과 중동 향하는 수출은 감소

 

ECB 통화정책회의

- 통화정책 동결

- 기준금리 0% , 예금금리 -0.5% 동결

- 한계 대출금리 0.25%, 팬데믹긴급매입프로그램(1조 8500억 달러) 유지

- 자산매입 지속세 유지

- 중기적 관점에서 완화적인 재정 및 통화정책에 의해 수요 회복세는 인플레이션 압력 예상

ECB 라가르드 총재

- 물가상승 전망

- 유로존 경제 침체 올해 1분기까지 이어질 것으로 예상 (~3월까지)

 

1월22일 (금)

Check 항목

미국 1월 제조업 PMI 

- 조업 PMI 59.1 -> 13년 8개월 만 최고치

- 경기회복세 예측

미국 1월 서비스업 PMI

- 서비스업 PMI 53.2 -> 10개월 만 최고치

유럽 1월 제조업 PMI

- 제조업 PMI 47.5 급하락

- 코로나 재유행에 따른 록다운 여파

 


이후 일정 (자료수집 후 수정예정)

1월25일 (월)

Check 항목

EU 외교장관급 회의

1월26일 (화)

Check 항목

미국 1월 CB 소비자기대지수

 

1월27일 (수)

Check 항목

FOMC (파월 의장 발언)

 

1월28일 (목)

Check 항목

애플 실적 발표

 

1월29일 (금)

Check 항목

테슬라 실적발표

MS , 아마존 , 페이스북 , 마스터카드, 맥도날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