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3월 경제리포트 (1주차 이슈 정리 및 코멘트)
[투자] 경제 시황

[경제] 3월 경제리포트 (1주차 이슈 정리 및 코멘트)

728x90

2021년 3월 주요 이슈


1주차

한국 : 2월 수출입 동향 / 2월 소비자물가지수
- 중국 : 2월 제조업 PMI / 서비스업 PMI / 중국 정협(인민정치협상회의) / 중국 전인대 (전국인민대표대회)
- 미국 : 2월 제조업 PMI / 서비스업 PMI / 2월 고용보고서

- 유럽 : 2월 제조업 PMI / 서비스업 PMI / 2월 소비자물가지수

- OPEC+ 정례회의


3월1일 (월)

Check 항목

한국 2월 수출입 동향

- 전년 같은 기간대비 9.5% 증가

- 10개월 연속 흑자 기록

- 40개월 만 최고 증가율

- 바이오헬스 & 의약품 분야 18개월 연속 증가세

- 바이오 지난 2월 대비 62.5% 증가 (한국 코로나19 진단키트 수요 증가, EU 상대 수출 대폭 상승)

- 반도체 / 자동차 / 석유화학 / 바이오헬스의 강세

 

 중국 2월 차이신 제조업 PMI

- PMI 지수 50.9 

- 1월 51.5 대비 0.6포인트 낮은 수준

- 제조업 경기가 확장세를 보인 2020년 5월(50.7) 이후 가장 낮은 수준

- 그러나 지수는 10개월 연속 50 이상

차이신 PMI는 수출업체 & 중소기업 중심 조사

- 중국의 주요 과제 : 인플레이션을 주시하며 코로나 이후 경제회복세 유지

 

 미국 2월 ISM 제조업 PMI

- 예측 58.8 / 발표 60.8 (이전 58.7)

- 신규수주, 수주잔량, 수입, 생산, 재고 등을 바탕으로 지수 측정

- 시장 예측보다 상회했다는 것은 미국의 강한 경기 회복세 예측

 

EU 2월 제조업 PMI

- 예측 57.7 / 발표 57.9 (이전 54.8)

- 시장 예측과 부합, 이전 대비 상승

 


3월2일 (화)

Check 항목

 한국 2월 제조업 PMI 

출처 : IHS Markit

- 한국 제조업 경기 5개월 연속 확장

- 제조업 PMI 55.3 (이전 53.2)

- 제조업 PMI 지수가 55.3은 약 11년만 최고 수준

- 한국 제조업의 꾸준한 회복세 시사

- 생산과 신규 주문 모두 11년만 가장 빠른 증가세

- 한국 2월 수출입 동향과의 연관성

 

 한국 1월 산업생산

- 1월 산업생산 0.6% 감소

- 소비 1.6% 증가

- 코로나 3차 확산 속 다소 부진한 산업생산

- 광공업과 서비스업, 건설업 생산 감소

- 설비투자 6.2% 증가

- 중요한 것은 2월 한국 수출입동향을 통해 알 수 있듯이 양호한 수출흐름으로부터 설비투자 증가세의 흐름이다.

 

 EU 2월 소비자물가지수

- 예측, 발표, 이전 모두 0.9%

- 미국의 2천조원 규모 경기부양법안의 통과 기대에 따른 유럽증시 반등 


3월3일 (수)

Check 항목

 중국 정협 (인민정치협상회의)

- 올 해 경제성장률 6% 이상 제시

- 도시실업률 5.5% & 도시 일자리 1천100만 개 이상 창출 목표 (전년 대비 900만 개 증가)

- 2020년 유일하게 2.3% 성장률 기록 -> 2021년 6% 이상 제시

중국 최대 정치행사 양회는 매 년 3월 초 베이징에서 열린다. 우리나라의 국회 격인 전국인민대표회의(전인대)와 국정 자문기군인 전국인민정치협상회의(정협)을 뜻하며 중국의 주요 정책방향이 양회로부터 결정되기 때문에 매우 중요

특히 2021년 공산당 창당 100주년과 더불어 14차 5개년 계획의 첫 해이기 때문에 중국의 방향성을 살펴 볼 필요가 있다.

 중국 2월 차이신 서비스업 PMI 

- 예측 51.5 / 발표 51.5 (이전 52.0)

- 중국 제조업 PMI와 서비스업 PMI 모두 하락하였으나, 50 이상 경기 확장 상태라고 볼 수 있다.

- 서비스업 PMI는 2020년 4월 (44.4) 이후 최저치로 많은 하락세

 

미국 2월 서비스업 PMI

- 발표 59.8 (이전 58.9)

- 2014년 8월 이후 최고치

- 미국은 전반적으로 중국과 비교했을 때, 서비스업과 제조업 PMI 지수 모두 상승세

- 미국 기업활동이 6.5년만에 가장 빠른 속도로 성장

- 2021년 경제의 강한 회복세


3월4일 (목)

Check 항목

 OPEC+ 정례회의

 

- 러시아 & 카자흐스탄 일부 증산 허용

- 올 5월부터 일평균 100만 배럴 감산을 서서히 그만둘 것

- 감산 연장 소식으로부터 원유가격 5% 급상승

- 중국 2~3월 원유 수입 두드러진 감소

 

 한국 2월 소비자물가지수

- 107.00으로 전년 동월 대비 1.1% 상승, 전월 대비 0.5% 상승

- 월간 물가상승률 1%대로 오른 것은 2020년 9월 이후 5개월만

- 1.1% 상승은 2020년 2월 이후 최대 상승폭

- 농축수산물 전년 동기 대비 16.2% 상승 (10년만 최대 상승폭)

특히 사과나 파 그리고 돼지고기와 국산소고기, 달걀, 쌀 가격이 매우 상승, 서비스에서는 공동주택관리비 상승

 한국 4분기 경제성장률

 

- 4분기 국내총생산(GDP) 성장률 1.1% -> 예상 밖 선방

- 3분기 대비 1.1% 성장 / 전년 동기 대비 -1.4% 감소

- 2021년 경제 성장은 민간 소비 회복이 매우 중요한 포인트

- 수출로 지탱한 4분기 경기라고 볼 수 있다.

 

미국 1월 내구재 주문

- 예측 1.1% / 발표 3.4% (이전 1.2%)


3월5일 (금)

Check 항목

 미국 2월 고용보고서 (비농업고용 / 실업률 / 임금상승)

- 고용 37만 9천명 증가로 예상보다 상회

- 실업률 6.2%

- 2월 고용지표가 예상보다 긍정적으로 나와 10년만기 국채금리가 큰 폭 상승(5일 기준)

- 전체 일자리 중 950만개 상실

- 음식점 & 호텔 일자리 증가

- 월가 : 950만개 일자리 상실에 따른 적극적인 부양책 합의 필요 의견 제시

- 경기민감섹터와 가치주에 대한 관심 증가

- 2021년 반도체 및 하드웨어 주식의 매력도 증가

- 경제활동 재개에 따른 여행 관련주 관심 확대

 

 미국 1월 무역수지

- 무역수지 적자 682억 달러 (전월 대비 1.9% 증가)

- 무역적자 전망치 675억 달러 상회

- 수입 1.2% 증가 , 수출 1.0% 증가


김호준의 comment

[한국]

한국의 2월 수출입 동향을 살펴 봤을 때 10개월 연속 흑자 기록과 반도체/자동차/석유화학/바이오헬스의 강세를 보여주고 있다.

또한 한국은 2월 제조업 PMI에서 5개월 연속 경기 확장을 통해 꾸준한 경기회복세를 보여주고 있으며 특히 생산과 신규 주문 모두 11년만 가장 빠른 증가세를 보여줌으로써 긍정적인 경제상황을 보여주고 있다.

1월 산업생산 부분에서는 광공업과 서비스업, 건설업 생산이 감소하였으나 중요한 것은 설비투자가 6.2% 증가를 통해 설비투자의 증가세를 확인할 수 있다.

4분기 경제성장률(GDP) 역시 1.1%로 예상보다 상회하며 수출로부터 잘 버텨냈고 20201년 한국 경제 성장은 민간 소비 부문의 회복이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미국이 다우존스와 S&P 500, 나스닥이 약 2% 상승한 것에 비해 3월 8일 코스피는 2,996pt로 3000선이 붕괴하였다.

[중국]

중국은 제조업 PMI와 서비스업PMI 모두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미국과 비교했을 때 미국은 모두 상승세를 보이는 반면, 중국은 하락세를 보이고 있지만 제조업과 서비스업 PMI 모두 50이상은 유지하면서 경기 확장 상태라고 볼 수 있다.

가장 중요한 것은 이번 3월 올 해 경제성장률을 6% 이상 제시하면서 도시일자리가 전년 대비 900만 개 증가를 하였고 2020년 유일하게 2.3% 성장률을 기록한 중국이 2021년 6% 이상을 제시했다는 점과 재정적자 목표치를 3.2%로 제시하며 완화적인 방향을 제시하였다.

 

금일 기준 중국은 -2% 이상 상하이종합과 항셍 지수가 하락을 보여주고 있다. 그러나,

 

3월 8일 금일 중국 뉴스 헤드라인 

중국은 1~2월 수출액이 전년 대비 60.6% 증가하여 529조원에 달했다는 뉴스를 통해 미국이나 유럽 경제의 제조업 경기 회복세로부터 해외 주문이 늘어난 것에 영향을 받았다고 본다.

전문가들은 글로벌 교역 증가 속도가 빨라짐에 따라 중국이 2021년도 글로벌 교역 회복을 주도할 것이며 미국의 빠른 경기 회복으로부터 중국의 수출이 증가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미국]


미국은 제조업PMI와 서비스업PMI 모두 시장 예상보다 상회하면서 강한 경기 회복세를 예측할 수 있었고, 중요했던 2월 고용보고서 결과를 살펴보면 고용이 37만 9천명 증가로 시장예상보다 상회했다는 점과 실업률은 6.2%라는 점, 그리고 고용지표가 긍정적으로 나와 10년만기 국채금리가 큰 폭 상승하면서 경기회복에 대한 시장의 기대감이 커졌다.

 



월가는 2021년 반도체, 여행 관련주들에 대한 관심을 지속적으로 가지고 있고 한국 2월 수출입 동향을 보면 알 수 있듯이 반도체/자동차/석유화학/바이오헬스의 강세에 따라 반도체 관련 ETF가 현재 가격을 분석하여(괴리율 등) 지금과 같이 아시아증시가 흔들릴 때 중국이나 한국과 같은 신흥국에 대한 펀드나 ETF를 섹터별로 나눠 분산투자를 하고 미국이나 유럽 중에서는 적정 비중을 분산하여 선진국에 대한 투자를 통해 최대한의 손실은 방어하며 투자의 기다림이 필요한 시기라고 생각이 들고, 어느 정도 시드머니는 CMA에 넣어 유동성을 확보하는 것이 좋다고 판단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