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년 3월 주요 이슈
▶4주차
- 한국 : 3월 수출입동향 / 2월 생산자물가지수 / 3월 소비자심리지수
- 중국 : 중국 대출우대금리
- 미국 : 미국 4분기 경상수지 / 미국채 2년물 입찰 / 마이크론 실적 발표 / 4분기 경제성장률 /
3월 제조업 PMI / 3월 서비스업PMI / 2월 내구재 주문 / 3월 미시간대 소비자신뢰지수 / 2월 PCE 디플레이터
- 유럽 : EU 1월 경상수지 / EU 정상회담 / 3월 소비자기대지수 / 3월 제조업PMI
3월22일 (월)
Check 항목
□ 한국 3월 수출입 동향
- 전년 대비 2021년 12.5% 증가- 일평균 수출액 16.1% 증가- 품목별 수출 현황에서 전년 동기 대비 반도체 / 승용차 / 석유제품 10% 이상 상승- 한국 경제가 빠르고 강하게 회복하고 있으며 수출과 투자, 내수시장 동반 성장 가능성의 확대- IMF : 한국 2021년 성장률 전망 0.5%p 상향 조정
□ EU 1월 경상수지
- 경상수지를 구성하는 세부 항목 : 상품수지 / 서비스수지 / 본원소득수지 등등
- 경상수지에서 상품수지라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의미
상품수지란 컴퓨터, 자동차 등 상품을 사고 팔며 얼마나 이익을 얻었느냐를 뜻함
Q) 경상수지 흑자이면 어떻게 되나요?
- 해당 국가에서 만든 상품이 많이 팔렸다고 해석 -> 수출이 증가했다는 뜻 ->
수출이 증가하면 투자인프라 확대 -> 노동시장 활성화 -> 거시적인 경제 활성화
Q) 경상수지 흑자면 무조건 좋나요?
- 무조건은 아닙니다.
한국이 경상수지 흑자 -> 거래상대방 경상수지 적자 -> 지나치게 격차가 클 경우 갈등발생
ex) 미중 무역전쟁의 원인은 미국이 중국과의 무역에서 과도한 적자로부터의 불만
□ 중국 LPR (대출우대금리)
- 1년 만기 LPR(대출우대금리) 3.85% 유지 - 5년 만기 LPR(대출우대금리) 4.65% 동결 - 2020년 4월 이후 11개월 연속 동결- 중요 POINT : 기준금리 동결, 부동산 대출 금리 상승세- 부동산 대출금리 상승세는 각 은행이 부동산 대출에 대해 엄격한 규제
3월23일 (화)
Check 항목
□ 미국 4분기 경상수지
- 2020년 4분기 경상적자 30% 급증
- 12년만 최고수준 치솟은 상황
- 2020년 경상수지 적자 34.8% 늘어난 6472억달러
- 코로나19 여파로 상품과 여행 및 서비스 큰 타격
- 경상적자 GDP에 차지하는 비중 3.1% (2008년 이후 최고수준)
- 경기회복을 향한 긍정적 추세와 대규모 경기부양책으로 수입은 견조한 모습
- 수출회복은 많이 느린 추세
□ 미국채 2년물 입찰
- 2년물 입찰 호조
- 10년물 수익률 1년 만 최고치 하회
- 파월 연준의장 : 물가상승세에 대해 통제권에서 벗어나거나 지속적인 급등 촉진 X
본 필자의 의견으로 그렇다면 만약 물가상승세를 통제를 못한다면? 투자에서 의심은 중요한 자세입니다.
- 10년물 수익률 장중 1.702% 상승 후 거래 후반 1.638%
3월24일 (수)
Check 항목
□ 마이크론 실적 예상
Q) 마이크론 실적이 왜 중요한가요?
- 마이크론은 통상적으로 삼성전자, SK하이닉스보다 실적 선공개를 하기 때문에 메모리 관련 풍향계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 2020년 12월 마이크론 대만 공장의 정전과 지진
- 2020년 11월 마이크론 176단 3차원 (3D) 낸드 생산
- 2020년 12월 SK하이닉스 176단 낸드 개발 완료
- 2021년 상반기 끝을 기점으로 하반기부터 메모리 반등 본격화 예상
□ 한국 2월 생산자물가지수
- 2월 생산자물가지수 전월대비 0.8% 상승
- 전년 동월대비 2.0% 상승
- 식료품 & 에너지 0.5% 상승
- 생산자물가지수의 상승 이유는 국제유가 상승 영향 (4개월 연속 상승)
□ 미국 3월 제조업PMI
- 예측 59.3 / 발표 59.0 (이전 58.6)
- PMI지수는 50을 기준으로 50이상 : 경기확장 / 50미만 : 경기수축
□ 미국 3월 서비스업PMI
- 예측 60.0 / 발표 60.0 (이전 59.8)
□ 미국 2월 내구재 주문
- 예측 0.8% / 발표 -1.1% (이전 3.5%)
3월25일 (목)
Check 항목
□ EU 정상회담
- 바이든 대통령의 취임 후 유럽 정상들과의 대면
- 유럽과의 관계 복원 기대
- 양측 관계 재활성화 목표
Q) 정상회담을 통해 어떤 이야기를 주로 했나요?
- 중국과 러시아를 포함한 외교정책에 대한 이야기를 시작으로 기후변화에 대해 강조를 하였습니다. 탄소배출량 감소를 위해 2030년 목표를 시작으로 기후변화 대책 추구와 지구온난화 섭씨1.5도로 제한하려는 목표를 강조하며 방향성을 제시하였습니다. 추가적으로 미국과 EU 관계 강화에 대한 이야기를 언급하였습니다.
Q) 미국이 어떻게 보면 EU한테 친근하게 다가가는 느낌인데요?
- 굉장히 중요한 포인트입니다. 3월19일 미국&중국 고위급 회담에서 공동 발표문조차 없이 막을 내렸습니다. 서로에게 덕담을 주고 받을 때는 카메라가 켜져 있고, 덕담을 주고 받는 게 정상이지만 시작하자마자 서로에게 강력한 펀치를 주고 받았습니다. 이번 회담을 요약하자면..
'미국과 중국이 이번 회담에서 보인 불협화음은 예상을 뛰어넘었고, 이들의 충돌이 냉전 초기 미국과 소련의 회담과도 같았다.'
미중 무역갈등은 앞으로 어느 방향으로 흘러갈 것인가 대해 윤곽이 어느 정도 보이지 않을까라는 생각을 하며, 미국의 입장에서는 동맹국과의 관계와 EU와의 긍정적 신뢰관계 형성이 중요하다고 생각을 할 것이고 앞으로 더더욱 동맹국과의 관계 유지발전에 힘을 쏟아 중국을 견제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2018년도 미중무역전쟁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고래 싸움(미국,중국)에 새우 등(한국) 터진다.
□ EU 3월 소비자기대지수
- 예측 -14.5 / 발표 -10.8 (이전 -14.8)
□ 미국 4분기 경제성장률
- 2020년 4분기 국내총생산(GDP) 성장률 확정치 4.3% (0.2% 상향)
- 전문가들 2021년 강한 반등 전망
- 1조9000억달러 규모 부양책과 백신 보급
- 2021년 1분기 경제성장률 5% ~ 6% 예상
- 연방준비제도(FED) 미국 경제성장률 6.5% 전망
3월26일 (금)
Check 항목
□ 한국 3월 소비자심리지수
- 코로나 이후 첫 낙관 전환 (14개월만)
- 기준값 100 이상일 경우 낙관적, 100 미만이면 비관적
- 사회적 거리두기 완화 시 소비를 하려는 기대심리 상승 전망
□ 미국 3월 미시간대 소비자신뢰지수
- 예측 83.6 / 발표 84.9 (이전 83.0)
□ 미국 2월 도매재고
- 발표 0.5% (이전 1.4%)
- 도매재고는 도매업자들이 재고로 보유하고 있는 상품 총액의 변동 측정
□ 미국 2월 PCE 디플레이터
- 발표 1.6 (이전 1.4)
- 개인소비지출(PCE) 디플레이터는 국내 소비 물가의 전체 평균 상승도에 대한 미국 전역지표
'[투자] 경제 시황'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제] 4월 경제리포트 (3주차 이슈 정리) (0) | 2021.04.18 |
---|---|
[경제] 4월 경제리포트 (1~2주차 이슈 정리) (0) | 2021.04.09 |
[경제] 3월 Q&A (0) | 2021.03.25 |
[경제] 3월 경제리포트 (3주차 이슈 정리 및 코멘트) (0) | 2021.03.22 |
[경제] 美, 3년간 금리 인상은 없지만.. '3월 FOMC 리뷰' (0) | 2021.03.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