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4월 경제리포트 (1~2주차 이슈 정리)
[투자] 경제 시황

[경제] 4월 경제리포트 (1~2주차 이슈 정리)

728x90

2021년 4월 주요 이슈


1주차

- 한국 : 수출입동향 / 제조업 PMI / 소비자물가지수 / 외환보유고 / 삼성전자 실적 / 한국 재보궐 선거 / 옵션만기일 

- 중국 : 제조업 PMI / 서비스업 PMI / 3월 외환보유고 / 중국 물가지표 

- 미국 : 제조업 PMI / 고용보고서 / 내구재 주문 / 제조업 수주 / 2월 JOLTs 구인건수 / 소비자신용지수 / 생산자물가지수


- 유럽 :제조업 PMI / 센틱스 투자자기대지수 / 서비스업PMI / 생산자물가지수


 

- 6월 FOMC 

- 8월 잭슨홀미팅

=> 통화정책의 힌트가 구체화되는 시점

 

4~5월은 1분기 실적시즌으로 코스피 상승 예상 (

전고점 3300pt 접근 가능성 

 

- 테이퍼링의 방향이 나오는 순간 다시 시장의 분위기가 바뀔 수 있다는 점


4월1일 (월)

Check 항목

 한국 수출입 동향 

 

조선업 : 올해 1분기 작년 10배 달하는 수주를 따내며 전 세계 수주실적 1위 달성

 

 

- 국제금융기구 : 한국의 경제성장률 전망치 지속 상향 조정 

- 3월 수출입 동향 : 전년대비 16.6% 증가 

- 석유제품 : 국제유가 회복으로 2년 3개월 만 플러스 반등 성공

- 석유화학 : 역대 최고 월 수출액 경신 (47억5000만달러)

 

한국 2월 제조업PMI

- 제조업 PMI 55.3, 11년만 최고 수준

- 제조업 경기 5개월 연속 확장 국면 지속세

- 2010년 4월 이후 가장 높은 수준

- 신규주문 / 생산 / 고용 / 재고 등 경기동향 긍정적

 

□ 중국 2월 차이신 제조업 PMI

- 차이신 제조업 PMI 50.9 

- 전월 51.5 / 시장예상치 51.4

- 2020년 5월 50.7 이후 9개월 만 최저치 (2020년 11월 54.9까지 상승)

- 차이신 제조업 PMI : 주로 중소기업 및 수출기업 대상으로 경기 동향을 나타내는 지표

 

미국 2월 ISM 제조업 PMI

- ISM 제조업 PMI 64.7

- 전월 60.8 / 시장예상치 61.3

- 미국의 빠른 제조업 경기 회복과 한국 증시에 새로운 기회

- 미국 제조업 지표 호조 -> 한국 수출 및 기업 이익 개선 여부 체크

 

□ OPEC+ 회의

- 5~7월 감산규모 완화 결정 및 이란의 생산량 증대 가능성으로 유가 하락

- 사우디의 자발적 감산량 포함 5~7월 210만배럴 감산규모 완화 결정

 


4월2일 (금)

Check 항목

한국 3월 소비자물가지수

- 파 가격 1994년 4월 이후 최고 상승 (300%증가)

- 소비자물가 14개월만 최고 상승률 (전년 동월 대비 1.5% 상승)

- 소비자물가지수 107.16 (전월 대비 0.1% 상승)

 

소비자물가지수를 이용한 물가상승률 계산
(2021년 소비자물가지수 - 2020년 소비자물가지수) / 2020년 소비자물가지수 X 100 = 물가 상승 비율
물가상승률 = 인플레이션율 
화폐가치에 대한 파악 가능

예 : (X년 소비자물가지수 107.6 - Z년 소비자물가지수 100) / 100 X 100 = 7.6%
Z년 대비 X년 물가 7.6% 상승한만큼 화폐가치 7.6%감소, 같은 돈으로 봤을 때 100% - 7.6% = 92.4% 어치 물품 구매 가능

물가를 예측하면 금리와 환율, 주가는 방향성 예측하기가 유리해진다.

미국 3월 고용보고서(비농업고용 / 실업률 / 임금상승)


- 미국 비농업 고용 (신규일자리) 91만6천명으로 시장 예측 대비 큰 폭 상회 (예상치 67만 5천명)

- 미국 3월 실업률 6% (전월 6.2%)

- 골드만삭스 : 미국실업률 2021년 안으로 4%로 개선될 것 예측

- 시간당 임금 +4.2%


4월5일 (월)

Check 항목

 한국 3월 외환보유고

- 3월말 기준 4461.3억불

- 우리나라 외환보유액 감소세로 돌아섰으나 2월 기준 세계 순위 2년만 8위

- 한은 관계자 : 미 연준 완화적 통화저책과 하반기 이후 안전자산 선호 약화 등으로 달러 약세, 달러 비중 전년 대비 축소

 

외환보유고 : 국가가 보유하고 있는 비상금으로 국제적 위기로부터 대비를 위한 것 (외화 비축)
외환시장에 외화가 부족하거나 금융기관이 해외차입을 못해 대외결제 어려울 시 사용 / 환율 안정

 

미국 3월 ISM 서비스업 PMI

- 3월 ISM 서비스업 PMI 63.7 (전월 55.3 / 예상치 59.2)

 

QUIZ) 내구재 주문이 중요한가요?

 

- 미국 국내총생산GDP 의 13% 제조업에서 발생

- 제조업 동향 : 미국 경기와 경제의 방향 예측

- 내구재 주문은 제조업의 흐름 파악 가능(한 번 물건을 구입하면 3년 이상 사용하는 내구재에 대한 주문을 집계한 데이터)

- 자동차 / 컴퓨터 / 기계류 / 항공기 / 통신장비

- 내구재 주문 : 공장가동률 / 기업의 설비투자 / 고용 / 생산량과 연관성이 있음

- 내구재 주문 상승 -> 제조업의 업황 긍정적 -> 기업의 재무상황 개선 -> 경기 회복 

- 주문증가 -> 생산량 증가 -> 일자리 증가 -> 소비 증가 -> 주문 증가 (선순환)

 

 

IMF 연례 회의

 

- 글로벌 경제가 코로나로부터 회복중이지만 오르는 금리가 회복을 위협할 수 있다.

- 금리 상승세는 이머징마켓 경제에 악영향을 줄 수 있다.

- 금융환경이 갑자기 긴축될 시, 큰 위험이 다가올 수 있다.

 

IMF 총재 : 미국 연준의장 파월, 시장과 분명하게 소통할 것


4월6일 (화)

Check 항목

 한국 삼성전자 실적발표

- 1분기 실적 전기 대비 매출은 5.61%, 영업이익은 2.76% 증가

-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은 17.48%, 영업이익은 44.19% 증가

- 매출 65조원, 영업이익 9.3조원

 

중국 3월 차이신 서비스업 PMI

- 차이신 서비스업 PMI 54.3 (전월 대비 1.4 상승)

- 2020년 12월 이후 3개월 연속 하락 후 반등

- 제조생산 2월보다 다소 둔화, 서비스업 급격한 성장

- 서비스 공급자들의 경제 회복 강한 확신 (2011년 2월 이후 기업의 기대치 지표 가장 높은 수준)

 

EU 4월 센틱스 투자자기대지수

- 발표 13.1 (이전 5.0 / 예측 7.5)

- 6개월간 유로존 경기 전망의 방향성 예측 가능 (0 기준)

 

 EU 2월 실업률

- 2월 실업률 8.3% 전월 수준 유지 (고용시장 회복력 여전히 강한 수준)

 

미국 2월 JOLTs 구인건수

- 1월보다는 감소 (560만4000명 -> 544만 5000명)

- 고용률 전월 3.6% -> 3.8% 증가는 긍정적인 경제상황

 

4월7일 (수)

Check 항목

중국 3월 외환보유고

- 3월 말 중국 외환보유 3조1700억달러

- 3달 연속 감소세

- 3월 중국 외환시장 안정적, 외화의 수요와 공급 균형

- 2020년 11월~12월 증가세, 1월부터 다시 감소세

 

EU 3월 서비스업PMI

- 서비스업 PMI 49.6 (이전 45.7 / 예측 48.8)

 

미국 2월 소비자신용지수

- 소비자신용지수 84.90 (이전 76.80)

- 소비자신용지수 증가 해석

1) 향후 경제에 대한 소비자들의 신뢰 수준이 높아져 소비 증가로 해석

2) 소비자들이 당장 사용할 수 있는 소득이 부족해 부채 수준이 크게 증가로 해석

 

FOMC 의사록

- 당분간 제로 금리 유지 의지 재확인

- 코로나 위험의 지속성 우려와 통화완화 강조

- 회복이 확실해질 때까지 경제 부양 강조

- 올해 미국 경제 전망 상향 , 아직 미국 갈 길은 멀지만 경제는 회복 속도가 빠른 수준

4월8일 (목)

Check 항목

 한국 옵션만기일

- 옵션만기일에는 기관 / 외국인 수급에 대해 지속적으로 체크 

 

EU 2월 생산자물가지수

- 생산사 물가지수 전월대비 0.5% 상승

- 전년 동월대비 1.5% 상승

 

4월9일 (금)

Check 항목

중국 3월 소비자물가지수

- 소비가 크게 증가하지 않으며 소비자물가 안정세

- 소비자물가지수 101.50 (전월 100.90)

 중국 3월 생산자물가지수

- 2년만 최고치 기록

- 3월 생산자 물가지수 4.4% (전월 1.7% / 예상 3.5%)

 

소비자물가지수 : 소비자가 일상생활에서 구입하는 몇백개 상품 및 서비스요금 변동 종합 후 가격 변화를 나타낸 종합지수

생산자물가지수 : 기업이 다른 기업, 소비자에게 공급하는 몇백개 상품이나 서비스 가격 변화를 나타낸 종합지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