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년 4월 주요 이슈
▶3주차
- 한국 : 3월 실업률 / 3월 수출입물가지수 / 한국은행 금통위
- 중국 : 3월 수출입동향 / 1분기 경제성장률 / 3월 산업생산 / 고정자산 / 소매판매
- 미국 : 3월 재정수지 / 3월 소비자물가지수 / 3월 수출입물가지수 / 소매판매 / 산업생산 / 선물옵션만기일
- 유럽 :2월 소매판매 / 2월 산업생산 / 3월 소비자물가지수
- 6월 FOMC
- 8월 잭슨홀미팅
=> 통화정책의 힌트가 구체화되는 시점
4~5월은 1분기 실적시즌으로 코스피 상승 예상 (
전고점 3300pt 접근 가능성
- 테이퍼링의 방향이 나오는 순간 다시 시장의 분위기가 바뀔 수 있다는 점
4월12일 (월)
Check 항목
□ 미국채 10년물 입찰
- 0.82bp 상승한 1.6667%
- 4/17일 기준 1.59%
- 무난한 입찰결과
- 美 국채금리가 상승한다면, 우리나라 국채금리와 시중금리 상승 가능성도..
- 미국시장으로의 자금유입은 이머징마켓의 주가 영향
- 미국 국채금리 상승 -> 한국 포함 주요국 국채금리 상승 -> 시중금리 상승 ? -> 대출금리 ?
미국 국채금리 상승 = 달러 가치의 상승
해외시장의 투자자금이 뉴옥증시, 나스닥으로 옮길 가능성
- 미국 10년물 국채금리가 낮았을 때
미국 초우량 회사 & 빅테크 회사 : 대규모 회사채 발행
특히 빅테크 기업 대규모 회사채 발행 多 (지속적으로 투자하기 위한 자금조달)
대규모 회사채 발행 후 금리가 상승한다면, 중장기적 투자를 하는 테크 기업(기술주) 비중 줄이는 포트폴리오
ex) S&P500 회사들의 평균 배당 수익률 1.4% (위험자산이라고 하는 주식에서의 배당이 1.4% -> 전 세계 가장 안전한 국채 금리가 위험자산보다 높다면?)
-> 파월연준의장이 늘 걱정하지 말아라 하는 이유
□ EU 2월 소매판매
- 2월 소매판매 전월대비 3.0% 증가 (시장 예상치 1.5% 상회)
소매판매 증가 : 마트와 백화점의 물건을 넉넉하게 놓기 위해 24시간 공장 가동
근무시간 증가 -> 월급 인상 -> 여윳돈 증가 -> 소매판매 증가 -> 생산증가 선순환
□ 미국 3월 재정수지
- 적자 6,600억달러
- 전월 적자 3,110억달러
- 적자 2배 이상 증가 (역대 세 번째)
- 재정적자 확대의 주된 요인 : 코로나 19 경기부양법에 따른 지출 확대
- 개인당 1,400달러 지원금 (1.9조달러)
- 2020년 10월 ~ 21년 3월 재정수지 1조 7000억달러
재정수지 : 정부의 수입과 지출 차이
가정에서의 살림을 잘한다의 기준
나라에서의 살림을 잘한다의 기준
정부의 세입과 세출이 일치하는 균형재정 유지가 중요
4월13일 (화)
Check 항목
□ OECD 발표
- 주요 20개국 (G20) 2월 물가 상승률 전월 대비 가파른 변화
- 경기 회복에 대한 기대감(경기부양책 / 백신접종 -> 인플레에 대한 우려)
- 소비자물가지수가 높아진 초창기 : 시중에 돌아다니는 화폐 多
기업의 판매상품의 가격을 높여도 소비 감소 X : 매출액 증가와 전체적 실적 개선
- 물가지수가 높은 상태로 유지 : 소비자들의 부담 증가
소비심리 위축 -> 기업 매출액 감소로 실적 약화
□ 중국 3월 수출입동향
한국
- 한국 3월 수출입동향 : 교역액 1,000억 달러 돌파 높은 수치
- 원활한 수출과 수입 (내수시장 회복세와 글로벌 교역 시장 회복세)
- 3월까지의 1분기 수출량 전년대비 상승
- 차량용 반도체 수급 차질 -> 완성차 수출에 미친 영향은 크지 않으나 4월부터는 일부 영향 우려 주요 이슈
- 3월 수출 전년 동월대비 16.6%증가 (11월 이후 5개월 연속 상승세, 5개월 연속 증가 3년만 처음)
중국
- 중국 무역흑차 138억달러 (예상치 520억달러)
- 1년만 최저치
- 중국 3월 수출 증가율 (전년 대비 20.7% -> 기저효과?)
- 기저효과가 사라지면서 앞으로의 중국 수출 증가세가 내림세로 보일 것 (상하이증권 거시경제 전문가)
- 수출은 예상보다 줄고, 수입은 예상보다 늘어난 상황
□ 미국 3월 소비자물가지수
- 전월대비 0.6% 상승 (예상치 0.5%보다 상회 / 2012년 8월 이후 가장 높은 수준)
- 전년대비 CPI 2.6% 상승
- Counsumer Price Index 소비자물가지수
- 연준 2% 물가 목표
□ 미국채 30년물
- 30년물 미국채금리 2.2276% (2.235%대비 소폭상승)
□ OPEC 원유시장보고서
- 세계 원유수요 전망치 상향 조정
- 과잉재고 감소와 함께 정유제품 수요 반등 예상
- 유가 지지 : 코로나19로부터 수요감소 -> 공급감소로 유가 지지
- 산유랑을 줄이면 원유 수출을 통한 수입 감소
4월14일 (수)
Check 항목
□ 한국 3월 실업률
- 취업자 수 전년대비 31만명 증가 (13개월만 첫 증가)
- 한국경제의 중심 3040은 고용한파
- 실업률 4.2%
□ 한국 3월 수출입물가지수
-2021년 3월 수출물가는 전월대비 3.3% 상승, 수입물가는 전월대비 3.4% 상승
(전년동월대비 수출물가 5.6% 상승, 수입물가 9.0% 상승)
- 수출입물가지수는 환율 / 원자재가격 등 영향
- 환율 상승 시 -> 수입은 줄어들고 수출은 증가
- 김호준의 칫솔 1달러 수출
1달러 1000원 -> 팔 때마다 주머니에 1000원
1달러 2000원 -> 칫솔 0.5달러에 팔아도 1000원
50% 세일하여 팔아도 1천원
□ 미국 3월 수출입물가지수
- 미국 3월 수입물가 시장 예상치보다 상회
- 인플레이션이 가열하고 있다는 신호
- 연준은 경제활동 : 완만한 속도라며 완화적 통화정책 지속 강조
- 급등하는 원자재 가격과 강력한 기저효과로부터 향후 몇 달간 수입물가 상승
□ EU 2월 산업생산
- 2월 산업생산 전월대비 1.0% 감소
- 1월 증가 후, 2월 재감소
- 2월 감소의 원인은 공급 제약과 배송 지연의 영향으로 예상됐던 것
□ 베이지북
- 2월 말 ~ 4월 초 완만한 속도의 경제활동
- 백신 접종 확대로 경제 전망이 좋아진다 ?
- 아직은 공격적인 지원이 필요하다는 점을 재차 강조
- 베이지북 : 연준의 12개 지역 은행이 수집한 정보를 바탕으로 한 경제활동 동향
- 기준금리를 결정하는 FOMC 위원이 활용하는 기초자료
- 미국은 더 빠른 성장과 일자리 창출의 시기로 진입
- 테이퍼링 (자산매입 축소) 관련하여 금리 인상을 고려하기 전, 채권매입 축소부터 할 것 강조
- 주된 위험은 코로나19 확진자의 급증
4월15일 (목)
Check 항목
□ 한국은행 금퉁위(금융통화위원회)
- 기준금리 0.5% 유지 결정
- 코로나 4차 재확산 우려, 수출 제외한 경기회복 미진하다는 판단
- 2020년 3월 금리 1.25 -> 0.75, 5월 금리 0.5%로 현재까지 유지
□ 미국 3월 소매판매
- 내수 시장 서프라이즈, 3월 소매판매 27% 급증
- 미국 경제 예상보다 빠른 속도로 회복
- 소매판매, 고용지표 호조
- 금리 인상 고려하기 훨씬 전, 테이퍼링을 들어가겠다.
□ 미국 3월 산업생산
- 전년대비 14.1% 증가
- 다우지수가 34,000을 돌파한 것 = 미래 성장 전망에 대한 투자자들의 수요 증가
=> 미국의 실적 개선 및 지표 호조로 다우존스와 S&P
□ TSMC 실적발표
- TSMC 신규 투자 300억달러 늘린다는 발표 (기존 280억 달러보다 상향 조정)
- Why : 전 세계 반도체 공급 부족 사태 장기화로부터 과감한 선제 투자
- 1분기 매출 전년대비 25.4% 증가, 129억 달러
- 순이익 전년 동기 대비 19.4% 증가, 49억 달러
- 자동차 / 서버용 반도체 판매 증가로 역대 최대 분기 실적
- 삼성전자 반도체 부문 1분기 영업이익 약 3조5000억원으로 추정
- 삼성전자 파운드리 공장 운영 중인 텍사스주 오스틴 추가공장 여부
- 2월 정전 -> 오스틴 공장 가동 중단 이후 현지 사정 불안정
- 뉴욕주 버펄로, 애리조나주 피닉스 등 후보지 고심 중
- 올 상반기 내 투자 결정 가능한가?
4월16일 (금)
Check 항목
□ 중국 1분기 경제성장률
-중국 1분기 경제성장률 18.3% , 역대 최고치
- 중국 20년 1분기 GDP (국내총생산) 증가율은 사상 최저 -6.8%
- 이후 중국 2분기~4분기 국내총생산 증가율은 3.2% , 4.9%, 6.5%
중요한 것은 전년 동기가 아닌 전분기로 비교
전 분기 대비 경제성장률 0.6%, 앞선 분기의 2.6% 낮아진 수준
□ 중국 3월 산업생산
- 전년 동기 대비 24.5% 증가
□ 중국 3월 고정자산투자
- 전년 동기 대비 33.9% 증가
□ 중국 3월 소매판매
- 전년 동기 대비 25.6% 증가
'[투자] 경제 시황'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제] 4월 경제리포트 [26일~30일] (0) | 2021.05.02 |
---|---|
[경제] 4월 경제리포트 (4주차 이슈 정리 ★★) (0) | 2021.04.28 |
[경제] 4월 경제리포트 (1~2주차 이슈 정리) (0) | 2021.04.09 |
[경제] 3월 경제리포트 (4주차 이슈 정리) (0) | 2021.03.30 |
[경제] 3월 Q&A (0) | 2021.03.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