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 / 주린이 / 경제 / 경제리포트 / 투자 / 투자포트폴리오
5월
▶5월 3주차
- 한국 : 4월 생산자물가지수 / 수출입동향 (~20일)
- 미국 : 5월 뉴욕 제조업지수 / 4월 건축허가 / 5월 필라델피아 연준 경기 전망 / 4월 선행지수
- 유럽 : 영국 3월 실업률 / 3월 무역수지 / 4월 소비자물가지수
- 중국 : 중국 실물지표(산업생산 / 고정자산투자 / 소매판매) / 인민은행 LPR결정
- 월마트 실적발표
- FOMC 회의록 (4월)
- G20 글로벌 헬스 서밋
5월 17일 (월)
Check 항목
□ 중국 실물 지표
- 4월 고정자산투자 : 1~4월 고정자산 투자 19.9% 증가 (시장 예상치 19.0% 상회)
- 4월 실업률 : 2019년 11월 이후 가장 낮은 5.1%
(고용 지표 개선으로 이어진다면 향후 소매판매 긍정적 요인 작용 가능)
소비 주도 회복 가속도를 내기 위한 모습도 .. 그러나 향후 몇달간 성장이 잠시 주춤할 수 있다.
- 4월 산업생산 : 증가세 (전년 동월 대비 9.8% 증가)
- 4월 소매판매 : 증가세 (전년 동월 대비 17.7% 증가)
But, 추세가 전월 대비 다소 둔화적
3월 중국 산업생산 증가율 14.1% , 소매판매 증가율 34.2%
- 설비투자를 포함한 고정자산 투자와 수출 버팀목 역할 -> PC 생산 호조- 자동화투자 확산 -> 산업 로봇 43% 증가 - 자동차 분야 -> 반도체 부족 우려 속 6.8% 증가
- 조강 분야는 13.4% 증가 *3월 19.1%보다 증가세 둔화*
1) 이산화탄소 배출량 억제를 위한 지방정부의 지도
2) 대형 철강사에 고로 폐쇄와 생산 감축 지침
* 고로 : 용광로로 제철소의 심장을 뜻함
3) 중국 국무원 : 5월부터 조강의 수입 관세를 0%로, 외국 제품의 조달 늘릴 방침
발상의 전환
- 2021년 4월 29일 : 중국 탄소중립 목표 제시
- ~2030년까지 탄소 피크, ~2060년까지 탄소중립 목표 제시
- 2019년 중국의 탄소배출량은 전 세계 탄소배출량의 30.34% 비중 차지 (이 중 70%가 발전업, 산업연소)
- 조강 분야는 13.4% 증가 *3월 19.1%보다 증가세 둔화*
위 부분을 통해서 조강 분야의 증가세가 둔화되고 있다.
조강이란, 쇳물이다. (용광로나 전기로를 통해 만들어내는 쇳물)
- 글로벌 철강재 가격 고공행진 ?
- 포스코와 현대제철 "2021년 하반기까지 철강제품 가격을 올리겠다 !"
- 건설 / 자동차 / 조선 등 철강제품을 쓰는 업종 "철강재 가격 올리면 우리는 힘들다.."
- 포스코, 현대제철 무슨 자신감으로 가격을 올리는가?
- 두 회사 모두 3분기까지는 시황이 좋을 것으로 전망하며 제품 가격 인상을 이어갈 계획
- 자신감이 있었던 이유는 바로 1) 급증하는 철강 수요 2) 중국의 감산 3) 원료가격 강세
□ 미국 5월 뉴욕 제조업지수
- 발표 24.30 (예측 23.90 / 이전 26.30)
- 이전 대비 소폭 하락, 예측보다는 상회
5월 18일 (화)
Check 항목
□ 미국 주택시장 지표
- 4월 건축허가 : 176만건
- 4월 주택착공건수 : 156.9만건
- 4월 미국 신규주택착공건수 시장 전망치 하회(예상치 170만건) / (전월 대비 9.5%하락)
- 4월 건축허가 176만건을 전월 대비 0.3% 하락
- 왜 하회했는가 ? 최근 공급망 제약과 재료비 상승으로 건축업계 제약
- 수요는 이상없는가? 주택 수요는 여전히 강력하다. 아직은 낮은 이자비용
- 전세계 공급 부족 : 목재 가격 5배 급등
- 미국 주택건설 자재 생산자물가지수 최근 1년간 20% 상승
공급이 문제이고, 수요는 아직 이상무
"미국은 현재 신규주택 관련으로는 시장 전망치보다 하회했구나.. 좋지 않은건가?"
"아, 전세계적으로 공급 부족으로 목재 가격이 5배나 오르니깐 건축업계가 부담스러워서 주춤하는거구나.."
"결론적으로는 주택에 대한 수요는 굉장히 높은데 매물로 나온 주택들은 부족하니깐 건축업계가 지금은 제약조건으로 인해 힘들어도 전망은 좋네?"
궁금하다.. 우리나라는 지금 어떻게 흘러가고 있을까? - 시야 넓히기
"대전의 한 중소 건설사는 50일이나 공사 현장 작업을 중단했다."
"철근 공급 관련해서 대형 건설사들이 싹쓸이를 하고 있다."
- 전국 건설 현장에서 철근 부족으로 공사가 중단되는 상황..
- 위에서 이야기를 했던 중국은 대형 철강사에 고로 폐쇄와 생산 감축을 지침하였다.
- 철근 수요가 급증하고 있는 상황에서 중국 정부가 자국산 철강재 수출을 사실상 금지를 한 상황
(중국 정보 : 수출 장려 정책 일환으로 철강업체들이 수출을 하면 13% 부가가치세 환급 -> 중단)
- 철근이 귀한 철근 품귀 현상이 일어나고 있다.
- 건설업의 성수기는 2분기 (4~6월)
- 철근 거래 가격까지 상승하면서 철근값의 폭등까지..
이래저래 힘든 상황 속에서 악재가 다시 생기게 된다.
- 현대제철 철근공장의 작업 중지까지 발생하면서 공장 재가동은 미지수로 흘러가고
- 현대제철 당진제철소에서 생산되는 철근은 국내 철근 시장 물량의 약 15% 차지 (사흘 새 3% 철근 가격 상승)
- 정리를 해서 생각해보자..
1) 중국의 자국산 철강재 수출을 사실상 금지
2) 국내 포스코 & 현대제철 : 철강재 가격을 올리겠다.
3) 건설 / 자동차 / 조선 등 철강제품을 쓰는 업종 "철강재 가격 올리면 우리는 힘들다.."
4) 건설 : 우리가 제일 힘들다 그 이유는 다음과 같다.
"우리 건설업은 2분기가 성수기다. 4~6월이 성수기인데 지금 건설현장에 철근이 없다."
"있다해도 가격이 오르고 있다. 5개월만에 30만원이 증가했다."
"심지어 현대제철 당진제철소에서의 사고로부터 공장이 멈췄다."
□ 영국 3월 실업률
- 1~3월 영국의 실업률 4.8% (시장 예상치보다 하회)
- 코로나19 이후 영국의 일자리 시장 회복세를 보이고 있는 추세
가끔 드는 생각은 주식을 하며 투자를 할 땐
낙관론자가 될 것인가, 비관론자가 될 것인가..
□ 월마트 실적발표
- 1분기 실적, 월가 기대치 상회
- EPS 조정 후 1.69달러 ( 시장 예상치 1.21달러)
- 매출액 1373억 달러 (예상치 1319억 달러)
- 자전거와 프린트 등 코로나로부터 인기 있는 제품을 사고 있지만 마스크를 벗게 되면서 치아 미백제와 같은 제품 구매도 증가
- 월마트를 통해 소비심리 (유통업체) 예측
시야넓히기
- 화장품에 대한 수요는 ? 언제 시장이 움직일까? 중국의 화장품..?
- 중국 화장품 수요확대 -> 중국 등 주요 수출 국가에서의 화장품 수요확대로부터 매출 고성장이 기대되는 기업은 무엇이 있을까? 콜마비앤에이치?
5월 19일 (수)
Check 항목
□ EU 4월 소비자물가지수
- 발표 1.6% / 예측 1.6% / 이전 1.3%
□ FOMC 의사록 (4월)
-6월 4일 : 미국 5월 고용지표 예상보다 상회
Why? 실업수당 조기종료로 일자리를 구하는 사람들이 증가함에 따라 고용지표 개선
- 5월 이후 물가 상승률이 낮아지지 않을 전망 + 고용지표까지 좋아졌다 ?
=> 이거 경기 과열 아니야 ? 연준도 슬슬 테이퍼링에 대한 언급을 할 시기 (긴축정책)
- 금리 인상을 언제 어떻게 ~ 할 계획입니다. 언급 시, 전 세계 증시는 ?
- 단기간 조정으로 하락세를 보일 확률이 높다.
- But, 시장도 이제 안다. 미국의 소비자물가지수 상승 이후 긴축에 대한 언급이 언제 나올지
- 그렇다면 단기간 조정 후 상승세를 보일 수 있다.. 마이다스액티브 펀드를 담아볼까?
- 6월 FOMC 전까지 주종목 제외하고 비중을 줄여 현금화
- 지금의 바닥이 완전한 바닥은 아니다. 그렇기 때문에 cma에 자산의 일부를 현금화하여 대기시키고, 6월 말 ~ 7월 이후 저점매수 계획 (유동적)
- 주종목으로 잡고 있는 포지션은 롱(매수) 그대로 유지 (우량주 일부 종목 제외하고, 주력종목 1~2개면 충분, 이것저것 사둔 종목은 빠르게 정리하는 것이 일상생활에 도움이 된다.)
- 강세를 보이던 구리나 유가 등 원자재 가격도 하락을 하였고, 반도체 업종이 반등중이다.
- 주목할 것은 반도체 업종 : 글로벌 반도체 공급부족 회의 및 한미정상회담 관련하여 투자를 많이 하겠다라는 발표 등의 모멘텀이 강세를 불러일으켰다.
미국의 석유재고는 웬만해서는 한 번씩 훑어보자.
사람들이 원유 재고 발표에 관심을 가지면 시장 예측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생각한다.
EIA : 한국시간으로 저녁 11시 반 발표 (에너지정보청 EIA에서 주간원유재고 발표)
가솔린 재고, 원유 재고량, 난방유 비축량 , 원유 수입량 등 발표
원유 재고가 많다 = 원유가 흔해졌다 = 원유 가격 하락으로 보통 이어짐 (100%가 아님)
- 경제를 1~5점 (높을수록 경기 긍정적), 증가는 하였으나 예측보다 하회인 경우 3점정도..
5월 20일 (목)
Check 항목
□ 중국 : 인민은행 LPR 결정
- 중국의 기준금리 역할을 하는 대출우대금리(LPR) 13개월 연속 동결
- 1년 만기 금리 3.85% 유지, 5년 만기 금리 4.85% 전월과 같은 수준
- 경기과열 우려에도 중국, 사실상 기준금리인 LPR을 13개월째 연속 동결했다는 점을 주목하자.
□ 미국 5월 필라델피아 연준 경기 전망
- 발표 52.7 (이전 66.6)
- 제조업지수 전월 50.2에서 31.5로 하락 (전문가 예상치 40.5) , 경기가 확장세이지만 확장 속도는 둔화
* 해당 지수는 제로(0)을 기준으로 0 이상이면 경기 확장세
- 미국증시 : 주간 실업지표 등 경제지표 개선된 점을 바탕으로 소폭 상승
- 물가 상승 압력으로부터 나스닥(기술주) 조정 -> 이후 위험자산에 대한 우려는 비트코인 등 가상화폐로
□ 미국 4월 선행지수
- 미국 경기선행지수 2개월 연속 상승
- 미국 경기선행지수 : 경제 상승세가 지속하며 성장률 단기적 가속화할 수 있음
- 고용과 생산은 아직 팬데믹 이전 수준으로 회복이 되지 않았음
5월 21일 (금)
Check 항목
□ G20 글로벌 헬스 서밋
- 코로나19 백신공급 관련 자발적 특허계약과 기술이전 등 추진
- EU 등으로부터 코로나19 백신 원재료의 수출규제의 철폐, 기술이전 등 세계적 백신제조 확대 기여
- IMF 코로나19 종식을 위한 500억달러 규모의 계획 제안
- 2021년 말까지 전세계 인구 40% 백신접종
- 2022년 상반기까지 최저60% 백신접종
□ 한국 4월 생산자물가지수
- 전월대비 0.6% 상승
- 6개월 연속 상승 및 8년 11개월만 최고치 경신
- 원자재 가격 상승으로 공산품 가격이 상승한 영향
- 생산자물가지수는 소비자물가지수의 선행지표로 활용
- 일반철근 7.4% 상승
- 유가하락으로 석탄 및 석유제품은 내렸으나 원자재 가격 상승 -> 공산품(최종제품) 가격 상승
□ 한국 수출입동향 (~20일)
- 수출 311억 달러 / 수입 315억 달러
- 수출 : 전년 동기 대비 53.3% 증가
- 연간 무역수지 104억 3700만 달러 흑자 기록 중 (현재)
- 반도체 26% 승용차 146% 석유제품 150% 자동자부품 221% (전년 동기 대비)
'[투자] 경제 시황'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제] 6월 경제리포트 1주 (0) | 2021.06.06 |
---|---|
[경제] 5월 경제리포트 4주차 (0) | 2021.05.30 |
[경제] 5월 경제리포트 (2주차 이슈 정리 - 인플레이션과 증시) (2) | 2021.05.16 |
[경제] 4월 경제리포트 [26일~30일] (0) | 2021.05.02 |
[경제] 4월 경제리포트 (4주차 이슈 정리 ★★) (0) | 2021.04.28 |